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700
- 고정금리부채권
- 고정분류여신
- 노동계수
- 계좌대체
- 계절변동요인
- 공급사용표
- CAMEL-R
- DSR
- IMF SDR
- 잠재구직자
- 일상
- stabilization policy
- 잠재취업가능자
- 경제용어 700
- 고정환율제도
- 고정자본소모
- 멋진경찰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비계량평가항목
- 구인배율
- CACREL
- 교환성 통화
- 자유변동환율제도
- 계량지표
- 실질GDP 증가율
- 블록체인
- 신축적 물가지수
- 브레턴우즈 체제
- 경제용어
- Today
- Total
Jun's World
구매력평가환율 본문
구매력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 환율은 해당 통화의 실질 구매력을 기준으로 평가한 환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당사국 간 물가 수준(또는 물가상승률) 차이 즉, 당사국 화폐 간 실질구매력(가치)의 차이에 의해 균형 환율이 결정된다는 구매력 평가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맥도널드 빅맥 햄버거의 가격이 우리나라에서 5,000원이고 미국에서 5달러라면 원/달러환율은 1,000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표적 구매력평가환율로는 각국의 맥도널드 햄버거 가격을 비교해 환율을 결정하는 ‘빅맥지수’를 들 수 있다. PPP 환율은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이라기보다는 자국화폐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게 되는데, 국가 간 물가 수준 차이를 고려하여 GDP 등의 통계를 국가 간에 비교하는데 흔히 사용된다.
OECD에서는 3년마다 회원국을 대상으로 GDP와 그 구성요 소들의 가격과 생산물량을 기초로 국가별 구매력평가환율을 작성하고 있으며 UN과 세계은행에서도 별도로 작성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의 빅맥 가격은 5,500원이고 미국에서는 5.35달러입니다. 원/달러환율은 1,028.04원이 되어야 하는데요~
1,340 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물가가 미국보다는 낮다는 의미인거겠죠?
우리나라도 물가가 높아서 힘든데... 미국의 물가는 좀 더 높은가보네요~
암튼... 뭐 그렇습니다 ㅋ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3032011015649439a1f309431_1/article.html
[초점] 2023년 빅맥 지수, 스위스 1만원, 파키스탄 2500원
역대급 인플레이션이 지구촌을 덮치면서 이른바 ‘빅맥 지수’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빅맥 지수는 달러화를 기준으로 각국의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주요 경제지표로 영국의 유력
ww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