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s World

구매력평가환율 본문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구매력평가환율

블로그_준 2023. 8. 21. 00:25

 구매력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 환율은 해당 통화의 실질 구매력을 기준으로 평가한 환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당사국 간 물가 수준(또는 물가상승률) 차이 즉, 당사국 화폐 간 실질구매력(가치)의 차이에 의해 균형 환율이 결정된다는 구매력 평가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맥도널드 빅맥 햄버거의 가격이 우리나라에서 5,000원이고 미국에서 5달러라면 원/달러환율은 1,000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표적 구매력평가환율로는 각국의 맥도널드 햄버거 가격을 비교해 환율을 결정하는 ‘빅맥지수’를 들 수 있다. PPP 환율은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이라기보다는 자국화폐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게 되는데, 국가 간 물가 수준 차이를 고려하여 GDP 등의 통계를 국가 간에 비교하는데 흔히 사용된다.

 OECD에서는 3년마다 회원국을 대상으로 GDP와 그 구성요 소들의 가격과 생산물량을 기초로 국가별 구매력평가환율을 작성하고 있으며 UN과 세계은행에서도 별도로 작성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의 빅맥 가격은 5,500원이고 미국에서는 5.35달러입니다. 원/달러환율은 1,028.04원이 되어야 하는데요~

1,340 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물가가 미국보다는 낮다는 의미인거겠죠?

 우리나라도 물가가 높아서 힘든데... 미국의 물가는 좀 더 높은가보네요~

 암튼... 뭐 그렇습니다 ㅋ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3032011015649439a1f309431_1/article.html

 

[초점] 2023년 빅맥 지수, 스위스 1만원, 파키스탄 2500원

역대급 인플레이션이 지구촌을 덮치면서 이른바 ‘빅맥 지수’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빅맥 지수는 달러화를 기준으로 각국의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주요 경제지표로 영국의 유력

www.g-enews.com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인배율  (4) 2023.08.23
구속성예금  (2) 2023.08.21
교환성 통화  (0) 2023.08.16
교환사채(EB)  (1) 2023.07.31
관리통화제도  (3)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