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s World

교환사채(EB) 본문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교환사채(EB)

블로그_준 2023. 7. 31. 23:06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란 사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사채를 교환사채 발행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타사 주식 등 여타의 유가증권과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돈 빌려준 사람(사채권자)이 해당 기업이 가지고 있는 다른 회사 주식이나 다른 유가증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는 사채라고 하네요

 

 발행하는 채권에 주식이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발행회사의 신주를 일정한 조건으로 매수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s with Warrant)나,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등과 함께 주식연계증권으로 불린다. 발행회사가 보유하는 교환대상 유가증권은 상장유가증 권으로 제한되고 있으며 증권예탁원에 의무적으로 예탁되어야 한다.

 

주식연계증권
교환사채(EB)                : 다른 주식이나 유가증권과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는 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BW) : 신주를 일정 조건으로 매수할 수 있는 사채
전환사채(CB)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

 교환사채는 사채, 채권이 증권으로 변환되는 거니까 채권(부재)이 줄어들고 회사가 가진 자산도 줄어들게 됩니다.

그럼 전환사채는? 전환사체는 채권(부채)이 줄어들고 자산이 증가하게 됩니다.

 

 투자자는 미래의 주식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발행회사는 낮은 이자율로 사채를 발행하여 금융비용 부담을 덜 수 있어 회사채 발행을 통한 기업자금조달을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비교적 안정성과 이익 가능성이 겸비되어 있어 유리한 투자수단이 된다.

 교환이 이루어질 때 발행기업의 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감소한다. 신규자금 유입이 없다는 점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는 다르고 신주발행에 따른 자본금의 증가가 없다는 점에서 전환사채(CB)와도 다르다.

 

 가장 최근 뉴스로는 LG 화학이 가지고 있는 LG엔솔 주식을 교환해서  2.6조를 마련했다는군요

미래동력 확보를 위한 교환사채라고 하는군요

 교환사채 때문일까요? 이후 아래와 같이 주식이 상승하다 실적발표 후 미끄러지긴 했지만.. 아무튼 뭐...

그렇습니다. ㅋ

 

https://www.fnnews.com/news/202307111723118715

 

"LG엔솔 주식 교환"...LG화학, 교환사채로 2.6조 마련

[파이낸셜뉴스] LG화학이 신성장동력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한 자금 조달에 나선다. LG화학은 11일 글로벌 투자 자금 조달 목적으로 20억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 외화 교환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

www.fnnews.com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력평가환율  (0) 2023.08.21
교환성 통화  (0) 2023.08.16
관리통화제도  (3) 2023.07.26
관리변동환율제도  (3) 2023.07.24
공매도(short selling)  (4)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