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경제용어 700
- 계좌대체
- 계절변동요인
- 비계량평가항목
- stabilization policy
- 자유변동환율제도
- 실질GDP 증가율
- 잠재구직자
- 신축적 물가지수
- 잠재취업가능자
- CACREL
- 노동계수
- 교환성 통화
- 일상
- 구인배율
- DSR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멋진경찰
- 브레턴우즈 체제
- 경제용어
- 고정금리부채권
- 고정자본소모
- 700
- 계량지표
- 고정분류여신
- 공급사용표
- 고정환율제도
- CAMEL-R
- 블록체인
- IMF SDR
- Today
- Total
Jun's World
교환성 통화 본문
국제적인 통용력을 가진 특정국가의 통화를 말한다.
현재는 외환시장에서 미국의 달러화와 자유로이 교환 가능한 통화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제통화기금 (IMF)에서는 IMF 협정에 따라 IMF 회원은 자국통화에 교환성을 부여할 의무를 부여받고 있다. 이 의무는 제8조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자국통화의 교환성을 유지하는 국가를 ‘IMF 8 조국’이라 하며 동 국가의 통화를 교환성 통화(convertible currency)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SDR 가치 산정에 사용되는 바스켓 통화의 요건에 자유사용가능성(freely usable criterion)이 포함되어 있어서 2016년 10월에 바스켓 통화로 결정된 미 달러화,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및 위안화를 교환성 통화로 볼 수 있다.
좁은 의미만으로도 충분히 설명이 될 것 같은데,
쉽게 표현하면 IMF의 특별인출권(SDR, Special Drawing Rights) 통화바스켓, 즉 달러가 필요할 때 담보 없이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해당국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뭐 믿을 수 있는 국가는 특별히 달러를 빌려준다는 거죠
위에서도 언급되었지만, 현재 교환성 통화는 달러화(미국), 유로화(유로), 엔화(일본), 파운트화(영국), 위안화(중국)입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32113.html
[팩트체크] 이재명 ‘기축통화’ 발언…‘IMF SDR’과 혼돈해서?
IMF SDR 달러 외 4개국 통화 포함 전경련 주장은 원화 SDR 편입 가능성 IMF SDR 편입이 곧 기축통화 아냐 국제거래 원화 비중 매우 낮은 상황
www.hani.co.kr
제 기억에 남는 건 지난 대선에서 "기축통화" 발언으로 이슈가 되었었죠~
뭔 소리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IMF SDR을 얘기하는 것이었네요.
대통령 후보가 너무 말도 안 되는 얘기하는 거 아닌가 했는데... 지금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