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AMEL-R
- 고정환율제도
- 교환성 통화
- 계량지표
- 일상
- 자유변동환율제도
- 블록체인
- 공급사용표
- 잠재취업가능자
- 비계량평가항목
- 실질GDP 증가율
- 잠재구직자
- 경제용어
- 고정분류여신
- 계좌대체
- 노동계수
- CACREL
- 구인배율
- DSR
- 고정자본소모
- 신축적 물가지수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브레턴우즈 체제
- 계절변동요인
- IMF SDR
- stabilization policy
- 멋진경찰
- 700
- 경제용어 700
- 고정금리부채권
Archives
- Today
- Total
Jun's World
공매도(short selling) 본문
공매도(short selling)란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로 쓰이는데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란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후,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되갚은 후 차익을 얻는 투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A주식을 빌려 주당 15,000원에 팔고 며칠후 그 주식이 12,000원으로 하락하였다면 12,000원에 주식을 매입하여 빌린 A주식을 되갚으면 주당 3,000원의 수익을 얻는다.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수익을 얻지만, 예상과 달리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공매도 투자는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특히 공매도는 주식시장이 약세장이 되었을 때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전체 거래가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공매도에 쏠릴 경우 주식시장이 한 순간에 폭락하는 등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각국에서는 공매도에 대해 많은 규제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8년 9월 금융위기 직후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모든 종류의 공매도를 금지시킨 바 있다.
공매도 거래량을 봤을 때 HMM이 월등히 많군요~
기사를 보니 7년만에 매각이 결정되었다고 하는데 그거랑 연관이 있을까요?
아지 주식공부는 좀 부족하다보니 뭔가 명확한 설명이 안되는군요....
다음 기회에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도록 공부하겠습니다~!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통화제도 (3) | 2023.07.26 |
---|---|
관리변동환율제도 (3) | 2023.07.24 |
공급탄력성 (1) | 2023.07.24 |
공급사용표(SUT) (17) | 2023.07.21 |
공공재 (1)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