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구인배율
- 노동계수
- IMF SDR
- 블록체인
- 고정금리부채권
- 700
- 경제용어
- CAMEL-R
- 자유변동환율제도
- 고정자본소모
- 비계량평가항목
- 계량지표
- 공급사용표
- 잠재구직자
- 계절변동요인
- 신축적 물가지수
- 실질GDP 증가율
- 경제용어 700
- CACREL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잠재취업가능자
- 고정환율제도
- 멋진경찰
- 일상
- 고정분류여신
- 계좌대체
- 교환성 통화
- stabilization policy
- DSR
- 브레턴우즈 체제
Archives
- Today
- Total
Jun's World
공급탄력성 본문
공급탄력성은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공급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측정한다(공급량의 변화율÷가격의 변화율).
만일 1%의 가격 상승이 1%보다 더 큰 공급량 증가를 가져오면 공급은 탄력적이라 하며, 1%의 가격 상승이 1%보다 더 적은 공급량 증가를 가져오면 공급은 비탄력적이라 한다. 공급량 변화율과 가격변화율이 같다면 공급탄력성은 1이고, 공급은 단위 탄력적이라 한다.
또한, 어떤 재화의 공급량이 가격변동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영(0)이고, 이 재화의 공급은 완전 비탄력적이라 하며 이 재화의 공급곡선 은 수직선의 형태를 보인다. 반대로 한 재화의 공급곡선이 수평선일 때 이 재화의 공급은 완전 탄력적이며 공급탄력성은 무한대(∞)가 된다. 공급탄력성은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는 생산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변동환율제도 (3) | 2023.07.24 |
---|---|
공매도(short selling) (4) | 2023.07.24 |
공급사용표(SUT) (17) | 2023.07.21 |
공공재 (1) | 2023.07.21 |
공개시장운영 (2)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