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잠재취업가능자
- 구인배율
- 고정환율제도
- CACREL
- 고정자본소모
- 경제용어
- 비계량평가항목
- 고정분류여신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잠재구직자
- IMF SDR
- DSR
- 노동계수
- 자유변동환율제도
- 계량지표
- 일상
- 700
- 계좌대체
- 계절변동요인
- 공급사용표
- 실질GDP 증가율
- 신축적 물가지수
- 경제용어 700
- CAMEL-R
- 브레턴우즈 체제
- stabilization policy
- 멋진경찰
- 교환성 통화
- 블록체인
- 고정금리부채권
- Today
- Total
Jun's World
고정금리 본문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하며 변동금리란 일정 주기별로 시장 금리를 반영하여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의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만기 1년, 변동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 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시 3.0%, 약정 3개월후 3.2%, 6개월후 3.5%, 9개월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시 3.5%, 약정 3개월후 3.7%, 6개월후 4.0%, 9개월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돈 빌린 사람)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 하는 경우에는 변동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 양적완화 축소 등 글로벌 금융긴축으로의 전환이 우리나라에도 시장금리 상승을 야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 차입자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고정금리대출을 장려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동일 만기에서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 보다 높은데 이는 자금 대여자(은행)에게 약정 기간중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 프리미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정분류여신 (1) | 2023.07.21 |
---|---|
고정금리부채권(SB) (3) | 2023.07.20 |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16) | 2023.07.20 |
고용보조지표 (0) | 2023.07.20 |
고용률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