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블록체인
- IMF SDR
- 700
- DSR
- 고정자본소모
- 일상
- 잠재구직자
- 노동계수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계좌대체
- 잠재취업가능자
- 실질GDP 증가율
- CACREL
- 고정금리부채권
- 브레턴우즈 체제
- 구인배율
- stabilization policy
- 비계량평가항목
- 경제용어 700
- 고정분류여신
- 경제용어
- 신축적 물가지수
- 고정환율제도
- 자유변동환율제도
- 계량지표
- 멋진경찰
- CAMEL-R
- 교환성 통화
- 공급사용표
- 계절변동요인
- Today
- Total
Jun's World
블록체인 본문
블록체인(block chain)은
①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모든 거래정보를 블록(block) 단위로 기록하여
② 모든 구성원들에게 전송하고
③ 블록의 유효성이 확보될 경우 이 새 블록을
④ 기존의 블록에 추가 연결(chain)하여 보관하는 방식
의 알고리즘이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자인 해시포인터(a hash pointer, 위변조 점검 수단), 시간표시 및 거래데이터를 포함한다.
블록체인은 효율적이고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거래를 기록할 수 있는 개방된 분산원장 즉,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이는 참여자간 공유(peer to peer) 네트워크가 집단적으로 새 블록을 검증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관리된다. 그래서 만약 누군가 거래기록을 조작하려면 참여자간 연결된 모든 블록을 새 블록 생성 이전에 조작해야한다.
즉 일정 시간 안에 수많은 블록을 모두 조작해야하는 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보안성이 높은 것이다. 이 블록체인 덕분에 새로운 단위가 치의 거래가 오직 한번만 이뤄짐으로써, 사기행위와 같은 이중 지급(double spend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블록체인에서는 ‘제3의 기관’이 필요 없는 탈중앙화 와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는 탈중개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거래비용이 획기적으로 낮아진 다. 그래서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이더리움(Etherium) 등 가상통화 운용의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스마트계약, 증권 발행 및 거래, 해외송금 및 자금이체, 무역금융, 부동산 등기, 고가품(예: 다이아몬드)의 정품 인증, 디지털 ID 관리, 전자투표, 개인건강기록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무한한 혁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통화공개(ICO) (0) | 2023.07.11 |
---|---|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0) | 2023.07.11 |
가상통화 (0) | 2023.07.11 |
가산금리 (0) | 2023.07.10 |
가변예치의무제도(VDR)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