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s World

가산금리 본문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가산금리

블로그_준 2023. 7. 10. 11:23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게 보통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 해외에서 기채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기준금리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산금 리 또는 스프레드는 보통 베이시스 포인트(bp, basis point)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0.5%의 금리격차를 50bp로 표기하고 1%는 100bp로 표시된다.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0) 2023.07.11
가상통화  (0) 2023.07.11
가변예치의무제도(VDR)  (0) 2023.07.10
가동률  (0) 2023.07.10
가교은행  (0) 202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