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블록체인
- 계절변동요인
- 고정환율제도
- 노동계수
- stabilization policy
- 공급사용표
- 경제용어
- 고정자본소모
-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CACREL
- 고정금리부채권
- 자유변동환율제도
- 계량지표
- 구인배율
- DSR
- 경제용어 700
- 계좌대체
- 잠재취업가능자
- IMF SDR
- 멋진경찰
- 일상
- 실질GDP 증가율
- 잠재구직자
- 교환성 통화
- 비계량평가항목
- 고정분류여신
- CAMEL-R
- 신축적 물가지수
- 700
- 브레턴우즈 체제
Archives
- Today
- Total
Jun's World
경기(business conditions) 본문
경기(business conditions)라는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경제적인 형편을 뜻하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 기업들은 매출이 늘고 생산성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인식할 것이고, 가계는 임금이 인상되거나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이 올라 살림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아졌다고 느낄 것이다. 범위를 넓혀 국민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볼 때, 경기가 좋다는 것은 생산, 소비, 투자 등의 경제활동이 평균 수준 이상으로 활발한 경우를 의미한다. 장기적 관점에서 경기는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 물가 고용이 상승하는 시기와 하락하는 시기가 주기적으로 순환을 반복하는 경제활동의 상황을 의미 한다. 경기는 호황기→후퇴기→불황기→회복기→호황기가 반복되면서 끊임없이 변동하며, 이렇게 경기의 일정한 움직임이 되풀이 되는 것을 경기의 순환(business cycle)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기의 순환과정은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교대로 되풀이 되는 반복성, 여러 측면의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다양성, 확장 및 수축 양상이 시차를 두고 경제 각 부문에 전달되는 파급성, 그리고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확대해 나가는 지속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경기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생산, 투자, 고용, 수출 등 경제 각 부문의 여러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법, 종합경기지표로 판단하는 방법, 기업가나 소비자들의 경기판단 및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순응성 (0) | 2023.07.13 |
---|---|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0) | 2023.07.13 |
볼커룰(Volcker Rule) (0) | 2023.07.13 |
겸업주의/전업주의 (0) | 2023.07.13 |
결제완결성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