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s World

감응도계수 / 전방연쇄효과 본문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감응도계수 / 전방연쇄효과

블로그_준 2023. 7. 12. 20:35

 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이 영향력계수감응도계수이다.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 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로서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 수의 행의 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 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 철강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과 비교한 것으로 철강에서의 생산유발의 정도를 전산업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따라서 석유정제와 같이 그 제품이 각 산업 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감응도계수가 크다

반응형

'경제용어 700 (주석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기금(Capital B)  (0) 2023.07.12
갑기금(Capital A)  (0) 2023.07.12
감독자협의회  (0) 2023.07.12
간접세/직접세  (0) 2023.07.12
간접금융/직접금융  (0) 2023.07.12